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6년 건강보험 요율 / 건강보험료율 체크✔
    카테고리 없음 2016. 2. 29. 22:58

    2016년 건강보험료율 / 2016년 건강보험 요율

     

    요즘 경제 관련 뉴스를 보면 희망적인 소식보다는 암울한 소식이 훨씬 많은 것 같아서 좀 우울하네요. 최근 몇년새 자영업자들의 자산 규모가 줄어들고 경제의 허리인 중산층이 점차 얇아지면서 빈부격차도 더 심화되는 느낌이죠.

     

    한 켠에서는 "어렵다, 어렵다"고 하소연하지만, 또 한켠에서는 그런 모습과는 정반대의 풍경이 연출되기도 하니까요. 가령 올해 1월 해외 여행객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고, 2015년 해외에서 사용한 카드 금액이 15조 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하니 우리 경제가 좋아진 건지 나빠진 건지 헷갈릴 지경입니다. 각종 경제 지표로 보면 결코 좋아진 건 아닌데 말이죠.

     

    아무튼 올해도 어김없이 건강보험료는 올랐습니다.(0.9% 인상) 보장성을 강화하고 급여 항목을 늘린다는 명분이지만 경기 침체를 몸으로 느끼는 자영업자들에게는 그마저도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겠죠. 그럼 지금부터 2016년 건강보험 요율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2016년 건강보험료율 >

     

     

    2016년은 작년 대비 요율이 0.9% 인상되었습니다. 2009년 보험료 동결을 제외하면 역대 최저수준의 인상이라고 하네요. 이에 따라 직장가입자는 보수월액의 6.12%를, 지역가입자는 보험료부과점수당 금액이 179.6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하므로 결국 근로자는 보수월액의 3.06%를 내야합니다. 보수월액에 따른 계산 예시는 표 아랫 부분을 참고하시구요.

     

     

    < 2016년 4대보험자동계산기 >

     

    지금부터는 2016년 건강보험료율 인상에 따른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려드리죠.

     

     

    위와 같이 검색하시면 나오는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세요. 주소가 간단하니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 주소를 직접 치고 들어가셔도 됩니다.

     

     

     

    홈페이지 접속 후 상단 메뉴 중에 "알림마당"에 마우스를 올리면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이렇게 펼쳐진 하위 메뉴에서 좌측 하단의 모의계산 메뉴가 보이시죠? 클릭해보세요.

     

     

     

    그러면 이런 창이 뜨는 걸 볼 수 있어요. 자신의 월 급여를 알면 매월 얼마가 공제되는지 간단히 계산이 가능한데요.

     

     

     

    예를 들어 매월 250만원을 받는다면 그 금액을 넣고 계산 버튼을 누르면 바로 아래 표에 매월 내야하는 건강/장기요양보험료가 근로자/사업주 부담액으로 나눠서 계산됩니다. 간단하죠?

     

    이상으로 2016년 건강보험 요율 및 자동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